카테고리 보관물: Tip

절대 지켜져야만 하는 UI 디자인의 7가지 법칙 (퍼온글)

당신은 웹 디자이너인가요? 만약 그러하다면 당신은 UI 디자이너라는 말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미래에는 오히려 그 UI 디자이너라는 호칭이 웹 디자이너라는 이름보다 더욱 중요해질지도 모릅니다.

오늘날의 웹페이지들이 네비게이션과 메뉴 정도 만을 남긴 간단한 인터페이스라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우리가 앞으로 겪게 될 인터페이스는 아마 지금보다 더 유동적이고 개인에 최적화된 것들을 요구하게 될 것입니다.

피할 수 없이 받아들여야만 하는 이 흐름은, 우리가 UI 작업을 더욱더 세밀하게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 그럼 우리가 정확히 어떤 것들을 기억해야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명확성의 법칙(Law of clarity)

유저는 확실한 의미전달이 되지 않는다면 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려 하지 않습니다.

혹시 지메일(Gmail)을 사용하고 계신가요? 저는 사용한지 좀 되었는데요. 최근 업데이트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페이지 상단에 굉장히 명확한 텍스트 형식의 네비게이션 바를 달았었죠. 구글 캘린더, 드라이브, 시트 등 여러 구글 서비스들을 버튼 클릭 한번으로 사용 할 수 있게 되어 있었습니다.

그런데 구글은 갑자기 애매모호한 아이콘 하나로 모든 것을 ‘단순화’ 하고자 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 아이콘을 알아보지 못했고, 지메일은 결국 유저들의 원성을 들어야만 했죠.

사람들은 자신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들은 대부분 바로 지나쳐버립니다. 그건 인간의 자연적인 본능이죠. 어떤 기능인지 추측할 수 없는 인터페이스는 피하세요. 다들 그게 무엇인지 굳이 알고 싶어하지 않을 겁니다.

 

2. 우선순위의 법칙(Law of preferred action)

작업의 우선순위가 무엇인지 알 수 있다면 유저로서는 훨씬 더 수월해집니다.

위의 트위터(Twitter) 화면을 보세요. 새로운 유저가 이 화면을 본다면 무엇부터 해야 한다고 생각할까요?

물론 순서대로라면 트위터에 글부터 써야 하겠죠. 하지만 오른쪽 상단에 ‘새 트위터 작성하기’ 버튼은 상당히 명확하지 않습니다(1번 명확성의 법칙을 보세요). 그리고 왼쪽 사이드바에 있는 ‘새 글 입력창’은 또렷하게 드러나지 않고 배경색에 묻혀 버리기까지 하죠.

온전히 디자인적 시각으로만 바라보았을 때, 트위터에서는 아무래도 유저들이 검색을 하기를 바라거나 왼쪽 상단의 네비게이션 메뉴를 사용하기를 바라는 것 같습니다. 저 요소들이 가장 유명하니까요.

유저들로 하여금 다음에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하게 만들어서는 안 됩니다. 우선순위는 반드시 확실해야만 합니다.

 

3. 문맥의 법칙(Law of context)

유저는 자신이 수정하고 싶은 내용의 설정 인터페이스(버튼)가 문맥상 그 내용 가까이에 있기를 원합니다.

여러분은 페이스북(Facebook)에서 이름을 어떻게 수정하시나요? 오른쪽 상단의 설정에 들어간 후, 계정 설정에 들어가서, 이름을 찾아서 클릭하고, 수정 버튼을 누를 겁니다. 링크드인(LinkedIn)에서는 어떻게 이름을 수정할 까요? 이름 옆에 연필 모양 버튼을 클릭하면 끝입니다.

유저들은 항상 인터페이스가 자신들이 수정하고 싶은 내용 옆에 있기를 원합니다. 이것은 실생활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죠. 옥수수로 팝콘을 해먹고 싶다면, 전자레인지로 가서 전자레인지에 달려있는 버튼을 누르겠죠.

만약 전자레인지가 당신에게 계단을 내려가서, 지하실 문을 열고, 전기통을 열어서, 그 안에 있는 G-35버튼을 클릭하여 팝콘 프로그램을 가동해야 한다고 한다면(페이스북의 이름 바꾸는 작업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죠) 상당히 편리하지 않을 겁니다.

유저들을 위해 간단하게 배치하세요. 무언가가 수정, 변경, 혹은 설정이 가능한 요소라면 그 설정 버튼을 문맥상 바로 그 옆에다가 둘 수 있도록 하세요.

 

4. 기본 설정의 법칙(Law of defaults)

유저는 거의 대부분 기본설정을 바꾸지 않을 겁니다.

이 전화 벨소리에 익숙하신가요? 당연히 익숙하실 겁니다. 한때 지구상에서 가장 유명했던 벨소리이니까요. 왜냐구요? 그건 이 벨소리가 핸드폰에 기본으로 설정된 벨소리였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바꾸지 않았기 때문이죠.

기본 설정이 얼마나 강력한지는 아래 예시만 보아도 알 수 있습니다.
–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본으로 설정된 배경화면과 벨소리를 그대로 사용한다.
– 대부분의 사람들은(당신을 포함하여) 집 TV 세트의 기본설정을 수정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본 설정된 냉장고 온도를 바꾸지 않는다.

기본 설정은 눈에 크게 띄지는 않지만 이미 우리 세상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반드시 기본 설정이 최대한 간편하고 효율적일 수 있도록 해주세요.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것을 바꾸지 않을 테니까요.

 

5. 유도의 법칙(Law of guided action)

유저는 당신이 어떠한 행동을 유도한다면 아마 그렇게 할 겁니다.

유저가 무언가 하기를 ‘기대’하는 것과 실제로 그것을 ‘요청’하는 것은 다릅니다.

예를 들어 처음 링크드인에서 추천(endorsement) 기능을 만들었을 때, 이 기능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유저들 스스로 알아내기를 바라지는 않았습니다.
대신 그들은 눈에 명확하게 띄는 추천 배너를 오른쪽 상단에 나타나도록 하였죠. 여기에 ‘사람은 기본적으로 서로 추천하는 것을 좋아한다’는 사실이 더해져서 결국 이 기능을 큰 성공으로 이끌었습니다.
여기서 우리가 배울 수 있는 것은, 만약 유저가 무엇인가를 하기를 바란다면 주저하지 않고 ‘물어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6. 피드백의 법칙(Law of feedback)

유저는 당신이 명확하고 지속적인 피드백을 줄 때 더욱 확신을 가지게 됩니다.

이것은 아주 간단한 규칙입니다. 인터페이스가 유저에게 더 지속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록, 유저는 더욱 확신을 가질 수 있습니다.

지메일은 좋은 피드백 기능을 가진 서비스의 훌륭한 예입니다. 여러분이 하는 모든 행위에서 지속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더 알아보기(Learn more), 되돌리기(undo), 기능을 통해서는 더 깊이 배울 수도 있죠. 이것은 유저 자기 자신이 인터페이스를 통제하고 있다는 느낌을 주고 더불어 제품을 다시 사용하고 싶다는 확신을 줍니다.

 

7. 간편함의 법칙(Law of easing)

유저는 복잡한 과제라 하더라도 단계별로 나누어 간편하게 주어진다면 그것을 실행 할 확률이 높습니다.

왼쪽과 오른쪽의 양식을 비교해보세요. 둘 다 비슷한 양의 항목이 있지만 오른쪽이 훨씬 더 작성하기가 편하죠.

우리 모두는 길고 복잡한 형태의 양식은 지겹고 번거롭기 때문에 싫어합니다. 하지만 그것을 상단의 메뉴에 둘로 나누어 놓는다면, 훨씬 더 관리하기가 쉬워지죠.

이것이 바로 간편함의 법칙입니다. 사람들은 차라리 하나의 큰 과제보다는 10개의 작은 과제를 해결하려 합니다. 작은 과제들은 우리가 힘들다고 느끼지 않게 해 줄 뿐더러, 과제를 해결 할 때마다 성취감을 주기도 하죠.

 

과연 이것들은 ‘유의사항’일까요, 아니면 반드시 지켜야 할 ‘법칙’일까요?

제가 위에서 단호하게 ‘법칙’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이유가 있습니다.
이 법칙들을 위반 했을 시 단 한번도 좋은 결과가 나오는 것을 보지 못했기 때문이죠.
반농담이지만, 이 법칙들을 어길 시에는 항상 나쁜 결과가 따릅니다. 그것은 주로 이 불쾌한 인터페이스에 대해 성난 유저들이죠.
UI 디자인은 아주 세밀하고 책임이 막중한 작업입니다. 위의 법칙들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겁니다.

만약 이 7가지 UI 디자인 법칙들을 어기고자 한다면, 반드시 그에 합당한 이유가 있기를 바랍니다.

 

[원문7 unbreakable laws of user interface design by Peter Vukovic
본문은 99 Designs의 Peter Vukovic가 작성한 ‘7 unbreakable laws of user interface design‘을 원작자의 동의하에 번역 및 게시한 글입니다.

Ajax로 요청한 페이지 URL #hash 구현하기.

기본적으로 Ajax로 페이지를 요청할 경우 주소창의 URL은 변경되지 않는다.
그런 이유로 페이지를 URL을 복사해서 지인에게 알려준다던지 기존의 정적인 페이지의 URL 복사 기능이 제한 되었다.

이 부분을 보완하는 방법이 #hash를 이용한 클라이언트 라우팅이다.

[구글 Gmail은 #hash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대표적인 서비스다]
hash

[핵심요소]

// 현재 해쉬 정보를 확인.
console.log(location.hash); 

// 현재 보는 페이지에서 해쉬가 변경되면 동작하는 이벤트.
$(window).bind('hashchange', function() { 
  // do something 
});

[기본적인 구현 개념]

  • 페이지가 로드될때 해쉬가 있다면 그 해쉬에 해당하는 페이지를 Ajax 요청 처리.
  • 동일한 도메인에서 해쉬가 바뀌면 hashchange 이벤트가 발동하는데 그 경우 Ajax요청 처리.

[얻어 생긴 유용한 기능]

  • hash가 생겨 Ajax 호출 페이지라도 자연스럽게 뒤로가기, 앞으로가기 기능이 된다.

[구현 화면 보기]
preview

[참고]

rgba와 opacity차이점, IE8이하 rgba 대체 기법. (배경 투명처리)

투명 gif, png 이미지를 배경에 입혀서 투명 처리를 한 경험이 있을것이다.
하지만, IE6~7 브라우저 사용률 저하와 필요이상으로 사용되었던 이미지 보다 CSS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CSS background의 rgba를 활용한 투명 처리와 IE 크로스브라우징 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CSS

    
    body { background: #96C653; }
    p { padding: 10px;background: #000; color: #fff; }
    div { margin: 5px 0; padding: 10px; height: 200px; color: #fff; }
    #rgba { 
      background: rgba(0, 0, 0, 0.5); 
      /* 
        IE8이하는 rgba가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배경 투명도 적용을 위해 filter의 gradient을 대체 이용한다. 
        컬러값 60000000의 8자리 숫자의 의미: 앞 60 불투명도, 나머지 6자리 컬러값.
        startColorstr와 endColorstr의 색을 같게 하여 배경 투명도 처리를 하는것.
        하지만 원래는 그라데이션 처리하는 기법이기 때문에 같은 60% 투명도라고 해도 약간의 차이는 있다.
      */
      filter:progid:DXImageTransform.Microsoft.gradient(startColorstr=#60000000,endColorstr=#60000000);
      zoom: 1; /* 일반적이진 않지만 ie6, 7 에서 적용 안되는경우 선언. */
    }
    #opacity { background: #000; opacity: 0.5; filter: alpha(opacity=50); }

HTML

  

DOM element의 투명도를 결정하는 opacity, 배경의 투명도를 결정하는 background rgba.

[background 투명 처리]
background: rgba(0, 0, 0, 0.5);

[IE8 이하 배경만 투명도 처리]
filter:progid:DXImageTransform.Microsoft.gradient(startColorstr=#60000000,endColorstr=#60000000);
[DOM element 투명 처리]
opacity: 50%

[IE8 이하 opacity 처리]
filter: alpha(opacity=50);

[참고]
jsbin 소스보기
참고 가이드
Generate 제공

[별참 – GradientType은 그라데이션 방향]
filter: progid:DXImageTransform.Microsoft.gradient(GradientType=0,startColorstr=’#4cffffff’, endColorstr=’#4cffffff’);

파이어폭스, 크롬 NPAPI 기반 플러그인 지원 점차적 중단.

2014년인 올해 크롬과 파이어폭스가 Netscape Plug-in API (NPAPI) 을 점차적으로 중단해 나갈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크롬은 Java로 지원중인 플러그인도 2014년까지 지원한다고 합니다.

[지원 중단 내용 요약]
요즘 나온 브라우저들은 더 빠르고, 더 안전하며, 예전보다 할 수 있는 것도 더 다양합니다. 그러나 90년대적 개발된 NPAPI의 아키텍처는 너무 오래되어 이제 이는 브라우저를 느리게 하고, 다운시키고, 보안 사고까지 일으키는 주범이 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이제 Chrome은 내년엔 NPAPI 지원을 중단하려 합니다.

모질라에 이어 구글도 크롬 브라우저에서  넷스케이프 플러그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NPAPI) 기반 플러그인을 지원을 중단한다. 대부분의 크롬 플러그인은 NPAPI 기술을 사용한다고 한다.

23일(현지시간) 미국 씨넷에 따르면 구글은 2014년 1월부터 NPAPI 지원 중단에 들어간다. NPAPI 차단 작업은 이미 시작됐다. 23일부터 개발자들은 크롬 웹스토어에서 NPAPI 기반 플러그인을 포함하고 있는 익스텐션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없다.

NPAPI는 90년대 나온 기술이지만 지금도 대부분의 브라우저 플러그인 개발에 사용되는 아키텍처다. 구글은 NPAPI 기반 플러그인은 브라우저에서 영상과 음성을 지원하는 기반을 제공했지만 지금은 필요치 않은 기술이라고 지적했다. 지금은 오히려 충돌, 보안 사고, 복잡한 코드의 원인이라는 것이다.

구글은 표준 기반 웹 플랫폼이 NPAPI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이같은 변화를 알아채지 못할 것이란게 구글 설명. 크롬 사용자의 5% 이상이 쓰는 NPAPI 플러그인은 실버라이트, 유니티, 구글어스, 자바, 구글토크, 페이스북 비디오 6개 뿐이다. 구글은 이들 플러그인에 대해서는 잠정적으로 화이트리스트로 분류해 지원할 계획이다. 그러나 2014년 연말까지는 지원이 중단된다.

현재 NPAPI를 사용해 앱이나 익스텐션을 만드는 개발자들은 2014년 5월까지만 앱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후에는 웹스토어 홈페이지에서 이들 앱은 사라진다. 2014년 9월에는 검색 결과에서도 제외된다.

NPAPI 대안이 필요한 개발자들을 상대로 구글은 네이티브 클라이언트(NaCI), 패키지드 앱스네이티브 메세징 API레거시 브라우저 지원 등을 추천하고 있다.

[최근 1년간 브라우저 점유율 (테스크탑, 테블릿 분야만 조회)]
IE 점유율이 높은것은 아시아권이지만, 전세계적으로 점유율 1위는 크롬 입니다.
브라우저 점유율

[관련기사]